관리 메뉴

작은outsider의 생각누리

(뉴스읽기) 수능시계에 대한 비판기사, 정말 정부가 잘못한 건가? 본문

잡담 및 답변/시사잡담

(뉴스읽기) 수능시계에 대한 비판기사, 정말 정부가 잘못한 건가?

무량수won 2014. 11. 11. 11:49

누가 문제인가?


이 뉴스를 보고 든 생각은 다들 집중해야할 초점을 벗어난 싸움을 하는 것처럼 보였다. 뉴스는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


< 노컷뉴스 보도 >


수능이 얼마남지 않았다. 그런데 매년 수능 때 마다 시계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곤욕을 치룬다. 이유는 과도한 정부의 규제 때문이다. 시간만 나오는 디지털 시계도 몇가지 기능(시험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이 추가되어 있다는 이유로 제한을 받는다.


뭐 이런 이야기다. 여기서 가장 먼저 살펴봐야 하는 것은 수능시험에서 왜 전자시계에 제한을 두는가다. 이유는 하나다 전자 시계의 발달 때문이다. 그래서 아주 오래 전 부터 전자시계는 계산기 기능도 추가 되는 것들이 팔리고 있었다. 내 기억이 맞다면 벌써 20년도 더 전에 그런 전자시계가 시중에서 팔리고 있었다. 더불어 최근에는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스마트폰에서 할 수 있는 기능까지 넣어두고 팔고 있다. 이렇게 발달한 기기는 수능시험장에서 악용될 가능성이 높다. 과거에 악용된 사례가 있기도 하다.


다음 생각해야될 문제는 계산 기능이 있는 전자시계와 혹은 스마트 폰 기능이 탑재된 것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전자 시계만 해도 수천 수만가지의 종류가 있다. 솔직히 시계 전문가나 그쪽 시계에 관심이 없으면 겉모양이나 이렇게 저렇게 작동시켜본다고 구분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특히나 감독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선생님이다. 학교 선생님들의 평균 연령을 생각해보자. 게다가 수능 감독으로 나오는 선생님들은 보통 연차가 좀 쌓인 선생님들이 감독을 하게된다. 이 선생님들이 얼마나 그 시계를 잘 구분할 수 있을까? 아무리 젊어도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정부는 수능날 허용되는 시계에 대해서 민감할 수 밖에 없고, 소수의 기능을 제외한 기능이 추가되면 안된다고 못을 박아버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수능날은 대한민국의 모든 학생들이 인생을 걸고 보는 시험이기에 한 건이라도 부정행위가 발생해서는 안되니 말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계 업자들은 단순히 규정에 맞는 전자시계를 팔면 학생들을 현혹시키기 어려우니 이런 저런 부가 기능을 끼워 넣고 팔면서 수능시계라 명칭을 붙여 판다. 이 뉴스에서 기자는 업자들이 만드는 저 시계까지 단속하는 것은 너무한 처사가 아니냐고 하면서 정부를 비판하는 것이 기사가 쓰인 주된 이유다.



나는 기자가 정부를 비판하기 위해서 좀 억지를 부렸다고 생각한다. 전반적인 상황을 살펴보면, 정부가 하는 행위는 굳이 비난 받아야 할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다소 애매한 규정은 그나마 나름 학생들을 배려한다고 최소한의 기능이 있는 전자시계를 허용해 준 것으로 보인다. 현장에서 구분이 쉽지 않을 것을 알면서 말이다. 오히려 나는 전자시계 자체를 금지 시키는 것이 맞다고 본다. 대신 각 수능 고사장 마다 학생들 전부가 볼 수 있는 커다란 전자시계를 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어짜피 선생님들이 전자 시계를 잘 구분하지 못할 수 있으니 말이다. 혹은 학생들에게 정부가 공인하는 작은 전자 시계를 1인당 하나씩 시험 전에 나눠주고 거둬들이는 방법을 써도 괜찮을 것 같다. 그렇게 되면 전자시계에 익숙한 아이들에게도 편하고 시험 감독관들이 신경쓸 일도 대폭 줄어들게 되는 것이 아닐까?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자. 저 상황이 정부를 욕해야 하는 상황인가? 나는 현실을 생각하지 않고 하는 과도한 욕이라고 본다. 수능은 실제로는 인생의 모든 것이 아니지만 많은 학생과 학부모들이 인생의 모든 것이 결정되는 시험이라고 여긴다. 그래서 작은 것 하나에도 예민해지고 불안해진다. 전자시계 문제는 그런 사람들이 모두 납득하거나 불편해도 부정행위를 용납하는 것 보다는 나은 방법을 찾을 수 밖에 없다. 많은 사람들이 그 시험으로 인생이 바뀐다고 생각하고 있으니 말이다. 뭐 실제로 그런 면이 없지 않아 있긴도 하고 말이다. 때문에 누군가의 편의를 위해서 봐주는 것보다는 모두의 평등을 위해서 누군가가 조금 불편해지는 것이 맞다고 본다.


나도 이 정부가 맘에 안들긴 하지만 그렇다고 과하게 비판하는 것은 좀 보기에 안좋. ㅡㅡ;;;




2014.11.11. 오후 1시 내용추가.


이 이야기에 대한 적절한 반론 댓글이 달려서 이야기를 추가한다. 같은 날짜 글임에도 날짜를 추가시키는 이유는 음... 그냥 습관이라고 봐줘도... ㅡㅡ;; 뭐 그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왜 기자가 이 기사를 쓰게 되었을까? 솔직히 나는 그 고민을 하면서 기자의 과도한 정부 비판으로 방향을 잡았다. 기자가 쓴 기사의 내용이 그러했으니 말이다. 더불어 기사의 내용이 명확하게 풀어지지 않은 탓도 있다고 본다. 뭐랄까 아는 것이 있고 비판할 내용이 있는데, 그 초점을 잃어버려서 제대로 설명을 못하는 뭐 그런... 비유를 하자면, 전문가들이 대중에게 설명해준답 시고 지들 만의 언어로 신나게 떠드는 뭐 그런 모양새였다고 할까? 해당 기사를 읽고 내가 한 비판에 대해서는 잘못 된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 문제의 핵심은 아마도 내가 잘못 짚어낸 듯 싶다. 뭐 기사 하나만 읽고 끄적거린 글이니.... ㅡㅡ;;; 그렇다고 상세한 이야기를 다 파내면서 글을 보고 쓰려면 블로그에 글은 하나도 못 쓸 수도 있고... 이건 내 변명이고, 여하튼 이 기사가 나온 배경에 대해서 병아리장수님이 설명해서 달아 놓은 댓글을 본문에 옮겨 보려고한다. 언제나 그렇듯 지적과 관련된 댓글은 좀 날카롭긴 한데, 그건 이해하고 봐주기를 바란다. 내가 놓친 부분에 대해 지적해준 것에 감사를 드리며...



문제는 시중에 판매되는 수능 시계입니다.
업체에서는 평가원에서 검사를 받았다고 하고
실제로 작년까지 고사장에서 잘 사용했다는 후기가 많습니다.
그래서 수많은 학생들이 구입했고, 선물용으로 많이 팔렸습니다.
그런데 올해 날짜 표시 기능이 있으면 안되다는 발표가 난 것입니다.
더욱 문제는 평가원에서 확답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안되니까 가져가지 마라."라고 하는 게 아니라
"감독관이 결정할 것이다."라는 것이죠.
날짜 표시 기능이 디지털 시계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아날로그 시계의 크로노그라프도 문제가 됩니다.
관련 문의가 쇄도해도 계속 같은 답변만 내고 있습니다.
기자가 문제 삼은 것은 바로 이것입니다.
애초에 업체가 그런 시계를 팔고, 관련 문의가 몇 년째 되풀이되는 상황에서
애매한 답변만 하다가 불과 수능 2일 전에 문제가 터진 것이죠.
감독기관이고 책임기관이라면
수험생들 업체의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예방할 책임이 있습니다.
또한 업체의 광고가 허위라면, 반품 및 피해 보상이 있어야겠습니다.
만약, 수능 당일 날 판매된 수능 시계 가지고 갔다가 시계 뺏긴면
그 수험생이 입은 피해는 누구 책임입니까.
본인 책임인가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