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네이버>독서토론까페
- <프랑스존>
- <주한프랑스대사관>
- <팀블로그>반동탁연합
- <디아블로3 한국 공식홈페이지>
- <그린비출판사>
- <구글코리아블로그>
- <syfy 드라마 홈페이지>
- <게임소식사이트(영문)>
- <Creative Commons Korea>
- 포토샵활용편
- RetroG.net - 게임이야기 번역 -
- 스노우캣
- Forest of Book
- I Feel the Echo
- schrodinger
- 사진은 권력이다
- 하이드 책방
- MBC노동조합블로그
- 니자드 공상제작소
- 어린쥐의 볕들 쥐구멍
- 베이더블로그
- 마루토스의 사진과 행복이야기
- 불량푸우의 '인생사 불여의'
- 시사평론가 김용민 블로그
- 지상에서 영원으로(Mr. Ripley)
- 젠체와 젠장의 경계선에서(췌장)
- 이야기만들기
- 우석훈의 임시연습장
작은outsider의 생각누리
응우옌 왕조가 시작되기 전에... 본문
1427년 12월 베트남인은 항전 10년 만에 20년에 걸친 명의 지배에서 벗어나 국가의 통일과 민족의 독립을 달성하였다.
반명 투쟁의 지도자였던 레 러이가 레 왕조를 세우게 된다.
그러나 1527년 막 당중(莫登庸)의 왕위 찬탈로 레 왕조는 멸망하게 된다.
후에 부흥운동을 통해 레 왕조는 다시 일어서지만 황제는 명목상으로만 존재할 뿐 나라는 찐 씨와 응우옌 씨에 의해 북과 남으로 나뉘어 내전하게 된다. 같이 부흥운동을 이끌었던 두 집안이지만 막씨가 쫓겨나자 분열을 하게 된 것이다.
황제는 '부어(帝王)' 라고 불리면서 다이 비엣 즉, 베트남의 유일한 합법적인 지배자로 인정을 받았으나 실권은 '쭈어'라 불리는 찐 씨와 응우옌 씨가 가지고 있었다.
1771년 응우옌 씨 지배하에 있던 꾸이 년 부근에 있는 떠이 썬(西山)마을에서 응우옌 씨 3형제가 반란을 일으키고 이 반란은 순식간에 전국으로 퍼지게 된다. 이 운동은 응우옌 씨와 찐 씨를 무뜨리고 남북 대립의 종지부를 찍게 해준 운동이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대 규모의 농민 운동이기도 하였다.
1792년 9월 떠이 썬 운동의 절대적인 인물인 꽝 쭝이 39세의 나이로 갑작스레 죽음을 맞이하게 되고 이후 이 운동은 급격한 쇠퇴의 길을 걸어가게 된다.
이러는 사이 응우옌 씨의 응우옌 푹 아인은 쟈 딘 지방에서 지주들과 상인의 지원으로 세력을 키우게 된다.
응우옌 푹 아인은 후에 현재 베트남의 영토를 지니게 되는 응우옌 왕조를 세우게 된다.
출처 : 새로쓴 베트남의 역사, 유인선 지음, 2002년 이산 출판사
----------------------------------------------------------------------------
이상이 앞으로 시작하게 될 베트남의 역사 포스팅의 바로 전 시대 이야기의 대략의 줄거리 입니다.
유인선님이 지으신 베트남의 역사의 내용을 축약해서 재 구성을 할 것이기 때문에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신 분은 이 책을 참고 하시면 될듯 합니다. 또한 제 나름대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을 중심으로 포스팅이 될 것이기 때문에 생략되는 부분이 많이 있음을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이상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 및 여러가지 방법으로 이야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단순히 책의 내용에 의지해서 제 나름대로 재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래의 역사와 다를 수가 있으니 이러한 점이 있어서 지적해 주시면 재차 확인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크게 보기
현재의 베트남과 그 주변 국가들 입니다.
타이는 응우옌 왕조기에 사이암 또는 샴이라 불리웠고, 캄보디아의 경우에는 응우옌 씨와 찐씨가 남북으로 대립하던 시기에 응우옌 씨에게 예속 되기도 했었답니다.
'역사 > 베트남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했지만 그들은 저항을 하고 있었다. (0) | 2009.05.11 |
---|---|
결국 베트남은 프랑스의 손안에 떨어져버리고... (2) | 2009.05.08 |
프랑스, 베트남을 탐내다. (0) | 2009.05.06 |
유럽인, 베트남에 문을 두드리다. (0) | 2009.05.01 |
베트남을 만들다. 응우옌 푹 아인 (2) | 2009.04.29 |
Comments